우리나라의 가계 빚이 다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2015년 1분기 중 가계신용'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말 현재 가계부채가 1099조 3000억 원에 달한다. 지난해 4분기 말보다 11조 6000억 원, 지난해 1분기 말보다는 무려 74조 4000억 원이 늘어났다.

특히 가계대출은 3월말 1040조 4000억 원으로 1분기중 12조 8000억 원이 늘었다. 이중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375조 3000억 원으로 9조 7000억 원이 증가했다. 경기 부진과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대출금리가 하락한데다, 매매를 중심으로 주택거래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가계부채 문제를 둘러싼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정부는 가계부채 규모에 대해 '아직까지는 관리가 가증한 수준'이라며 낙관론의 기조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최근의 가계빚 상황은 낙관할 수만은 없는 것 같다. 증가세가 너무 가파르게 오르는 까닭이다.

은행에서 풀린 돈이 마땅한 투자처가 없어 부동산시장으로 몰리면서 자칫 거품을 키울 수 있다. 게다가 주택담보대출 뒤 원금은 갚지 못한 채 이자만 겨우 내는 가구도 상당수다. 향후 예상되는 금리상승 때 위험요인이 될게 뻔하다. 수출과 내수 동반 부진 등 한국경제의 성장 엔진은 꺼지고 있는데 가계부채만 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일본에서 1990년 나타난 '고령화로 인한 집값 붕괴'가 한국에서는 2019년부터 본격화할 것이라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경고가 나왔다. KDI는 고령화사회에 소득이 줄어든 노인들이 집을 팔거나 주거 면적을 줄이고, 집 살 여력이 있는 생산가능인구는 줄어들어 집값이 떨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현 가계부채는 가까스로 유지되는 부동산 경기와 저금리라는 두 축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중 하나만 흔들려도 매우 심각한 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부동산에 기대어 경기를 활성화하겠다는 발상이 크게 위험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