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픽사베이

[뉴스워치=어기선 기자] 우리나라에 현재 착한기업 열풍이 불고 있다. 식품회사 오뚜기가 27~28일로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과 기업인들 간 간담회 참석 대상에 포함되면서 착한 기업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아울러 현 정부의 경제정책의 큰 그림인 ‘J노믹스’가 윤곽을 드러내면서 착한 기업에 대한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J노믹스는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꾀하는 착한 성장 기조를 내걸고 있다.

이는 소득 주도형 성장과도 연결이 되며, 지난 6.10 민주화운동 당시 문 대통령이 내걸었던 ‘경제 민주주의’와도 맞닿아 있다.

현 정권이 들어서면서 가장 먼저 손을 봤던 부분이 ‘일자리 창출’이었고, 첫 방문지가 인천국제공항이었다. 이 자리에서 인천공항 비정규직 1만명을 정규직화한다는 약속을 하면서 비정규직 문제가 불거졌다. 그러면서 많은 기업들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키겠다는 약속을 잇따라 내놓았다.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갑질 논란이 불거지면서 가맹업계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칼날이 매서워지면서 프랜차이즈 업계는 가맹관계에 대해 새로 들여다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유통업계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서 저마다 착한 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보이고 있다.

정권이 바뀌면서 아무래도 기업들이 정권과 여론의 눈치를 봐야 하면서 기업들도 착한 기업 콤플렉스에 빠져 있다. 자신들의 기업이 과연 착한 기업인지 스스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된 것이다.

문제는 착한 기업의 기준이 무엇이냐는 것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착한 기업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고 착한 기업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원청업체와 하청업체의 관계가 갑을관계가 아닌 수평적 동반자 관계로 전환한다고 해서 착한 기업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사회공헌을 열심히 한다고 해서 과연 착한 기업이라고 이야기해도 되는지 궁금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착한 기업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착한 기업으로 기업들이 전환을 하고 싶어도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전환을 해야 할지 막막할 뿐이다.

기업 경영진 입장에서는 충분히 착한 기업으로 전환했다고 생각을 하더라도 여론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하면 과연 이 기업을 착한 기업이라고 부를 것인지 악덕 기업이라고 부를 것인지 애매모호하다.

분명한 것은 기업들이 현재의 상황에서 착한 기업으로 이제는 전환할 때가 됐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착한기업에 대한 명확한 기준도 없이 무조건 착한 기업으로 전환하라고 요구를 할 수 있을지 자체도 모르겠다.

우리의 착한기업 준거집단은 과연 무엇일까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사회적 공론화가 필요하다. 어떤 기업이 착한 기업이고, 그리고 우리나라에 있는 기업들이 어떤 노력을 해야 할 것인지 이제는 테이블에 앉아서 진지하게 논의를 해볼 때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