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픽사베이

[뉴스워치=어기선 기자] 연세대에서는 이른바 ‘못폭탄’으로 불리는 ‘텀블러 폭탄 사건’이 발생했다. 얼마 전 아파트 도색작업을 하던 사람을 지탱하던 줄이 끊겨서 추락사를 당했다. 이 모든 것이 분노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서 일어난 범죄이다.

연세대 텀블러 폭탄 사건의 피의자 김모씨(25.연세대 기계공학과 대학원생)은 피해자인 연세계 기계공학과 김모 교수와 논문 작업을 하면서 갈등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4월초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발생한 지하철 폭탄 테러를 모방해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8일 경남 양산시 한 아파트에서는 외벽 도색 작업을 하던 46살 김모씨는 갑자기 줄이 끊겨져 12층 아래로 떨어졌고, 결국 숨을 거뒀다.

단순 사고가 아니라 이 아파트 거주민이 시끄럽게 음악을 틀고 작업을 했다면서 밧줄을 고의로 자른 것이다.

이처럼 최근 분노 조절에 실패함으로써 범죄로 이르는 그런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1명은 분노조절장애라는 통계가 있다.

분노조절장애는 정신적 고통이나 충격 이후 좌절감·모멸감·무력감·부당함 같은 감정이 지속되면서 분노를 느끼게 되고, 그것이 조절이 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사람이면 누구나 스트레스를 받고, 그 스트레스를 평소에 통제를 하게 된다. 하지만 분노조절장애가 발생하면 그 스트레스를 통제하지 못하면서 분노가 표출된다.

문제는 이 분노가 살인·흉기난동·테러 등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일어나는 각종 범죄 역시 분노조절를 실패함으로서 발생하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09년 3720명이었던 분노(충돌)조절장애 환자 수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 2013년 4934명으로 5년 사이 1214명(32.6%)이나 증가했다.

분노조절장애 범죄에 대한 대책으로는 뚜렷하게 없는 것이 현실이다. 흔히 분노조절장애는 개인적인 문제로 우리는 취급을 하고 있다. 하지만 분노조절장애로 발생되는 범죄 사건은 사회적인 문제이다. 때문에 분노조절장애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처벌을 해야 한다는 것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사전적 예방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선진국에서는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지만 우리나라 국민은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것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정신과병원이라고 한다면 부정적인 이미지부터 떠오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다보니 분노조절장애가 발생해도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하고 있다. 분노조절장애를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하다보니 결국 분노조절장애로 인해 범죄가 발생해도 처벌 위주의 대책만 내놓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삭막한 인관관계에서 벗어나서 정이 넘치는 사회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분노조절장애 사람을 따뜻하게 안아줄 수 있는 그런 사회가 돼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분노조절장애로 인해 각종 사건·사고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